Career

기획본부 – UX기획

상호작용 디자인(Interaction design)의 목표는 복잡한 과업(Task)을 분석하여 일반 사용자들에게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제품을 만드는 것에 있습니다.

상호작용 디자이너(Interaction designer)는 제품 내 사용자 흐름(User flows)를 분석하고, 와이어프레임(Wireframes)을 만드는 것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목업(UI mockups)와 실제 제품 동작에 가까운 프로토타입(Prototypes)을 만드는 디자인 프로세스 전 과정에 걸쳐 사용자들이 어떻게 제품을 경험하고, 제품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어떤 영감을 줄 것인지 고민합니다.

책임과 역할 (Responsibilities and Roles)

  • 제품기획자, 엔지니어,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요구사항을 이해시키고,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위한 창의적인 해결 방법을 제안하고 협업
  •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 전반적인 UI 구조를 설계하기 위한 와이어프레임(Wireframe), 제품의 세부 동작과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다이어그램(Flow diagrams) 개발
  • 디자인 중기 단계에서 사용자와 제품의 상호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는 스토리보드(Storyboards) 또는 시나리오(Scenarios) 작성
  • 디자인 전 과정에서 실제 제품에 근사한 목업(Mockups) 또는 프로토타입(High fidelity prototypes) 등을 활용해 사용자 경험(UX)을 충족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 사용자 피드백과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제품에 반영
  • 디자인 관점에서 변화(Change), 세분화(Refinement), 개선(Improvement) 등을 고려해 업무의 우선순위 결정

시각 디자인(Visual design)의 목표는 디자인 영역(Space), 서체(Typography), 색상(Color), 아이콘(Iconography), 텍스쳐(Texture) 등의 디자인 세부요소들을 조화롭게 구성하고, 사용자들의 수월한 제품 탐색(Navigation)을 유도하는 것에 있습니다.

시각 디자이너(Visual designer)는 제품을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과 동시에 다양한 사용자 계층에서 사용 가능한 접근성(Accessibility)을 제공합니다.

책임과 역할 (Responsibilities and Roles)

  • 다양한 작업자들과 협업을 통해 제품군(Product family) 전반에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고, 공통적으로 활용 가능한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개발
  • 디자인 자원(Design asset) 관리에 필요한 도구(Tool), 프로세스(Process),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정의하고, 관리, 개선을 주도
  • 제품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Commitments)를 전달하기 위해 시각적 스타일(Visual styles)을 활용한 컨셉 개발 및 탐구
  • 제품군을 이해하고, 디자인 관점에서 제품군 전반에 고유한 디자인 가치를 제안
  • 제품군 전반에서 제품의 미학(Asthetics)을 고려하고, 새로운 디자인 스타일을 적용, 발전

기획본부 – 제품기획

제품관리(Product manage)의 목표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제품에 끊임없이 반영하고 제품을 변화해 나가는 것에 있습니다.

제품관리자(Product manager)는 제품의 컨셉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부터 출시 단계에 이르기까지 디자인(Designers), 기술(Technical managers), 마케팅(Marketers), 사업(Business developers)부서 등의 다양한 조직의 담당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주도합니다.

이 과정에서 제품관리자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요구사항을 제품 내 반영하기 위해 문제를 각 단계별로 세분화합니다. 제품관리자(Product manager)는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기술적(Technical) 제약사항을 고려하여 의사결정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제안합니다.

밀리웨이가 제안하는 제품으로서 Saas(Service as a service)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Business), 산업(Industry) 분야의 디지털화(Digital transformation)를 가속화합니다.

제품관리자는 사용자에게 기존의 온프레미스(On-premise) 방식과 같이 일회성으로 기능 또는 제품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제품관리자는 지속가능한(Sustainable) 제품을 만들어 나가며, 시장 내 다양한 사업적 문제(Business problem)를 해결하고, 파트너와 협업을 통해 사업을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합니다.

책임과 역할 (Responsibilities and Roles)

  • 요구사항, 시장, 경쟁환경에 대한 통찰력을 통해 제품을 이해하고 관리
  • 요구사항이 시장 전반에서 욕구하는 내용인지, 제품이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등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제품 출시 과정을 빠르게 반복
  • 디자인, 기술, 마케팅, 사업, 법무(Legal) 등 다양한 업무에 대한 기술적 검토와 협업을 수행
  • 기능, 고객, 산업 단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협업을 주도

데이터 과학(Data science)의 목표는 데이터 관점에서 시장의 요구사항을 전략적으로 이해하고, 데이터 기반의 예측 모델을 통해 문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에 있습니다.

데이터 과학자(Data scientist)는 분석 데이터에 대한 실험 계획에서부터 수행과정 전반에서 학습이론(Learning theory), 통계확습이론(Statistical learning theory), 최적화(Optizimation),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등의 이론과 알고리즘을 활용합니다.

책임과 역할 (Responsibilities and Roles)

  • SQL, R, Phython 등의 도구를 활용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도로 파손 검출 모델 개발
  • 최적화, 통계학습이론, 딥러닝, 강화학습 등 그 외 기계확습과 관련된 영역에서의 이론 및 실험적 연구 수행
  • 실험을 통해 각 변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델에 대한 알고리즘 설계
  • 설계된 알고리즘을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엔지니어와의 협업

연구본부 (업데이트 예정)